닫기

‘북한군 장성’ 전선 이동… ‘北파병 반대급부’ 문서 요구 가능성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main.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29010016472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 박영훈 기자

승인 : 2024. 10. 29. 16:42

국정원 "북한군, 러 군사용어 100여개 교육"
파병 관련 "러 안보 핵심관계자 러-북 왕래"
기밀 누설 우려 후대폰 사용금지, 입단속 강화
최선희 러시아 방문, 김정은 방러 협의 구체화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원 국정감사
29일 서울 서초구 국가정보원에서 직원들이 국정감사 감사위원들을 기다리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으로 이동한 북한군에 고위급 군 장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이를 확인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또 러시아군이 북한군에 러시아 군사용어 100여개를 교육하고 있지만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아울러 방러 중인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반대급부' 요청도 감지되면서 정찰 위성 발사를 위한 러시아의 핵심 군사 기술이 북한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국정원은 이날 서울 내곡동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과 러시아 간의 병력 이송이 진행 중"이라며 "고위급 군 장성을 포함한 일부 인원의 전선 이동 가능성을 열어두고 확인 중"이라고 보고했다. 이어 "러시아군이 북한군에게 러시아 군사 용어 100여개를 교육하고 있다"면서 "북한군이 어려워한다는 후문이 있는 상태라 소통 문제의 해결이 불투명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러시아가 북한군 파병 문제와 관련해 안보 핵심 관계자를 북한에 보냈을 가능성도 크다고 봤다. 국정원은 "지난 23∼24일 모스크바와 평양을 왕복한 러시아 정부의 특별기엔 북한군 파병에 관여하는 러시아 안보 핵심 관계자가 탑승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국제사회 반발에 직면한 파병 문제와 관련해 의견 조율이 목적"이라고 해석했다.

북한은 파병사실 유출을 막기 위해 내부 통제도 강화하고 있다. 기밀 누설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장교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차출 부대 병사들의 입단속은 물론 파병 군인 가족들에겐 거짓말을 하는 정황도 포착됐다. 하지만 이러한 단속 조치에도 파병 소식이 북한 내부로 퍼지면서 "왜 남의 나라를 위해 희생하느냐", "강제 차출될까 걱정된다" 등의 우려도 감지되고 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최선희 北외무상 러시아 방문… '파병 반대급부 문서' 요구 가능성 제기

러시아를 공식 방문 중인 최선희 북한 외무상 동향과 관련해 국정원은 "고위급 채널을 통한 추가 파병과 반대급부 등을 후속 협의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또 북한군 파병으로 한·미 등 국제사회 공조가 본격화하는 만큼 이에 대응할 외교·군사 협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김정은의 방러 일정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 '전선 재배치' 등 파병 후속 조치도 논의 될 전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여론 추이상 파견된 북한군이 전선 최전방에서 우선 전투에 참가하지 않도록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며 "(군사기술 제공 등) 파병 대가를 담은 문서도 요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국정원은 "북한은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지난 5월 실패한 정찰 위성을 다시 발사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대선 이후 7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면서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대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도발 가능성도 커졌다는 분석이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에 추가적인 대북제재 조치를 막아달라는 요청 가능성도 제기된다. 러시아는 북한군 파병이 러·북 신조약에 근거한 정당한 행위라고 강조하고 있어 북한의 '안보리 방탄' 요청이 수용될 공산이 크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러·북 신조약을 거론하며 "조약에서 참가국 중 하나가 군사 공격을 받을 시 서로를 지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국제법 조항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수차례 언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천현빈 기자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