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덩칫값 하네”… 희소성 부각에 서울 대형 아파트 몸값 ‘고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main.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18010010568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4. 12. 18. 14:27

최근 5년간 전용 135㎡형 이상 아파트 공급 비중 0.72%
'품귀 현상'에 가격 상승률 가팔라져
강남 등 주요 지역선 신고가 거래 잇따라
넓은 공간에 기반한 쾌적함·편의성 높아
대출 규제 영향권에서도 비껴나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 서울의 한 '국민평형'(전용면적 84㎡)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40대 가장 박모씨는 겨울 이사철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자녀들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더 많은 수납 공간 및 공간 분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느끼면서다. 박씨는 조금 무리를 해서라도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야할지 여부를 두고 아내와 의논하기로 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대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 가정 형태가 2~3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에서 부부와 자녀가 거주하는 핵가족 형태로 굳어지면서 '국민평형' 이하 중심으로 공급이 이뤄진 데 따른 기저 효과로 품귀 현상이 빚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2020년 1월부터 지난 11월까지 분양된 서울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총 2만5583가구 중 전용 135㎡형 이상 물량은 단 183가구(0.72%)에 불과했다.

땅이 부족한 서울지역 특성상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통해 아파트가 지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중 대형 평형은 대부분 조합원 몫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란 게 업계 시각이다.
특히 집값 상승기를 거치며 아파트 매매 시세 및 분양가가 크게 오르자 비교적 자금 부담이 덜한 전용 84·59㎡형 아파트가 대세로 자리잡았다는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대형 평형 아파트 희소성이 커지고, 가격 상승률도 가팔라지고 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 규모별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전용 135㎡형 초과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0.42% 올랐다. 전용 85㎡형 초과∼102㎡형 이하 및 전용 102㎡형 초과∼135㎡형 이하도 각각 0.36%, 0.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용 40㎡형 이하(0.09%), 전용 60㎡형 이하(0.17%), 전용 60㎡형 초과∼85㎡형(0.30%)보다 더 많이 오른 셈이다.

이렇다 보니 서울 주요 대형 평형 아파트에선 신고가 거래가 적지 않게 이뤄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 183㎡형은 지난달 10일 86억원(5층)에 팔렸다.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151㎡형도 지난달 2일 역대 최고가인 52억4000만원(6층)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165㎡형도 지난달 26일 59억원(9층)에 손바뀜됐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삼부아파트 전용 175㎡형도 지난 4일 44억5000만원(7층)에 집주인을 새로 찾았다.

대치동 한 공인중개사는 "통상 대형 평형 아파트는 넓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쾌적함과 편의성이 높다는 점에서 고정 수요층이 존재한다"며 "특히 서울 주요 지역 대형 아파트 물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매물보다 매수 문의가 비교적 많은 편"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대형 평형 아파트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공급 측면에서 소외를 받았던 서울 대형 평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는 분위기"라며 "대출 규제가 요즘 집값 약세의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대형 아파트의 경우 대출 없이도 자금 조달이 가능한 수요층이 구매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도 가격 강세 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당분간 대형 평형 아파트값 상승세가 전망되지만,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가구 변화에 따라 중소형 평형을 제치고 다시 주택시장에서 강자로 자리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