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부동산 거품 붕괴로 中 가구 자산 폭감 비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main.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05010001997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1. 05. 14:08

中 GDP의 100% 넘는 자산 증발 추산
2021년 헝다의 몰락으로 본격 시작
소비 여력도 붕괴, 당분간 회복 불능
clip20250105140324
중국 부동산 산업의 붕괴를 상징적으로 웅변해주는 베이징 교외의 한 예술 작품.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친 것에서 더 나아가 아예 지하를 뚫고 들어갔다는 사실을 말해주려는 듯하다./징지르바오.
금세기 들어 계속 부풀어가기만 했던 부동산 버블의 갑작스런 붕괴로 중국 가구들의 자산이 폭발적이라는 표현이 과언이 아닐 만큼 급감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 가구들의 소비 여력도 크게 줄면서 전국 곳곳에서 안타까움을 동반한 한탄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금세기 진입 이후 지난 20여 년 동안 부동산 산업은 그야말로 중국 경제의 효자라고 단언해도 좋았다. 2020년 말을 기준으로 부동산 및 관련 부대 산업이 GDP(국내총생산)의 25% 정도를 차지할 만큼의 덩치를 자랑했다면 진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지속적인 장밋빛 지속 성장이 예상됐다.

하지만 2021년 들어 이상징후를 보이는가 싶더니 하반기에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중 하나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현재 2조4000억 위안(元·480조 원)으로 늘어난 엄청난 부채를 짊어진채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직면하면서 상황은 완전히 일변했다. 그동안 너무나도 과도하게 커진 부동산 버블이 마치 빅뱅처럼 폭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대마불사라는 말을 비웃듯 비구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을 비롯한 수많은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줄줄이 디폴트에 내몰리거나 파산했다. 부동산 및 관련 산업이 폭망하지 않는다면 이상하다고 해야 했다. 실제로도 궤멸이라는 표현이 과언이 아닐 만큼 현재 상황은 심각하다. 이로 인해 중국 경제 전체가 휘청거리게 됐다는 평가까지 나온다면 더 이상 설명은 사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악영향을 받지 않은 채 정상을 유지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정점 대비 최대 40∼50% 폭락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자연스럽게 대부분의 재산을 부동산으로 보유한 가구들의 자산이 대거 줄어들 수밖에도 없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폭감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중국 경제 정보에 정통한 베이징 소식통들의 5일 전언에 따르면 전체적으로는 2024년 130조 위안, 달러로는 17조8000억 달러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산되는 GDP 대비 100% 전후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더욱 깊이 들어갈 경우 대략 3억 가구가 평균 43만 위안 전후의 자산 감소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는 계산도 바로 나온다. 연 1인당 GDP가 10만 위안이 채 안 되는 중국인들 입장에서는 엄청난 경제적 타격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중국인들의 소비에 대한 여력이나 욕구가 여전히 요동치거나 아직 살아 있다면 이상하다고 해야 한다.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내수 경기가 싸늘하게 식은 것은 다 까닭이 있는 것이다. 문제는 부동산 경기가 아무리 빨라도 2027년까지는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사실이 아닐까 싶다. 중국인들과 중국 경제가 당분간 고난의 행군을 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자국 경제를 비교적 낙관적으로 보는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나오는 것은 분명 괜한 게 아닌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