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난해 중국 무역흑자 1조달러 육박...미국과의 무역전쟁 격화 서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main.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14010007008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1. 14. 12:15

지난해 중국 무역흑자 9921억달러, 21% ↑
12월 수출 10.7% ↑...트럼프 관세 부과 전 밀어내기·사재기
NYT "20C 수출강국 크게 상회...중, 세계 제조업 지배"
WSJ "무역분쟁 확대시, 중 수출 의존 어려워"
XINHUA PHOTOS OF THE DAY
2일 중국 산둥(山東)성 동부 옌타이(烟台) 항구에서 선적을 기다리고 있는 차량들을 드론으로 찍은 항공 사진./신화·연합뉴스
지난해 중국의 수출액과 무역수지 흑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현지시간) 출범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더 커졌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13일 지난해 중국의 연간 수출액이 25조5000억위안(5101조원·3조5800억달러)을 기록, 전년 대비 5.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수입액은 1.1% 증가한 18조3900억위안(3679조원·2조5850억달러)이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는 7조600억위안(1412조원), 달러 환산 9921억달러로 전년 대비 21% 급증, 지금까지 최대 규모였던 2022년 8380억달러를 2년 만에 경신했다. 총무역액도 5% 증가, 사상 최고치인 43조8500억위안(8770조원)에 달했다.

이러한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는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후에도 20세기 동안 독일·일본·미국과 같은 수출 강국들의 무역 흑자를 훨씬 뛰어넘는 수치로 중국 공장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 이후 어떤 국가도 경험하지 못한 규모로 전 세계 제조업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분석했다.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 12월에만 1048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7%, 전월(974억달러) 대비 6.7% 각각 증가했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해 관세 인상을 시작하기 전에 미국으로 급하게 수출된 '밀어내기' 물량도 포함됐다고 NYT는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기업들과 미국 수입업체들이 관세 인상을 앞두고 서둘러 재고 쌓아두기를 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실제 지난해 12월 중국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6% 급증했다. 지난해 총수출액은 4.9% 증가한 5250억달러였다.

#CHINA-FOREIGN TRADE-NEW HIGH (CN)
13일 드론으로 찍은 허베이(河北)성 탕산(唐山)항 항공 사진./신화·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운동 과정에서 공약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최대 60%의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한 손실을 다른 수출 시장에 더 많이 수출해 상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아마도 통제된 위안화 약세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WSJ은 전망했다. 위안화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일일 고시 기준 ±2%에서 변동이 허용되는 관리변동환율제로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중국 관리들은 또한 국내 성장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 차입 및 기타 경기 부양책도 약속했다.

하지만 중국의 가장 큰 위험은 미국과의 대립이 무역을 둘러싼 다른 국가들과의 광범위한 갈등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이미 유럽연합(EU)·브라질·인도 등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제조업에 자금을 투입하면서 가격이 싸진 중국산 수입품 홍수에 대비하고 있고,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해 수출을 미국으로부터 돌리려 할 경우 더 강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무역 분쟁이 확대되면 중국이 성장 동력으로 수출에 의존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워지고, 관리들이 부진한 국내 지출을 늘리거나, 2024년 예측되는 5% 정도의 성장률보다 훨씬 더 약한 성장에 만족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