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도시가스 수소 혼입 실증 본격화…2030년 상용화 기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main.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1010011537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2. 21. 17:08

LNG 의존도 낮추고 비용 절감 효과
“수소, 탄소중립·에너지 안보에 필수”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 6.8% 인상<YONHAP NO-3598>
서울 시내 가스계량기 모습./연합
도시가스 배관 내 수소 혼입 실증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가운데, 실증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상용화는 시간 문제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존 도시가스 인프라를 활용해 수소를 공급하는 현실적인 방안이자,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기대되는 만큼 정부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내 수소 혼입 사업을 본격화 하기 위해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수소 혼입 실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도시가스 배관 내 수소 혼입 실증사업 추진단'을 구성해 규정 신설 및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가스공사는 고압 배관, 가스안전공사는 중·저압 배관을 담당해 수소 혼입의 안전성과 호환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에너지 업계 전문가들은 수소 혼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수소 혼입 기술은 천연가스 소비량을 줄이면서도 기존 배관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과 실현 가능성이 높은 대안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국내 천연가스 수입량은 4000만톤 이상으로, 여기에 20%의 수소를 혼입할 경우 연간 278만톤의 천연가스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는 766만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2.63%를 차지하는 수치다.

수소 혼입 기술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천연가스 수입 가격 상승과 발전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이 상승하면서 에너지 발전 단가도 크게 오르고 있다. LNG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수소 전용 대형 운송관을 구축하고, 수소 경제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체계를 전환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실증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203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인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해외에서는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10~20% 수준의 수소 혼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는 이를 법적으로 허용한 상태다. 한국도 실증을 통해 배관 내구성 검증, 최적 혼입 비율 설정, 경제성 확보 등의 과제를 해결한다면 빠르게 상용화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도 수소 혼입 기술이 탄소중립 목표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관련 법·제도 정비와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수소 혼입이 단기적으로 LNG 수입 부담을 낮추고, 장기적으로는 대형 수소 운송관과 연계해 한국의 수소 경제 확장을 앞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수소 활용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수소 혼입을 통해 기존 도시가스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대형 수소 운송관 구축과 연계해 수소 경제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